본문 바로가기
공부일지/Javascript

마크다운 작성 방법

by 곰인간 2023. 4. 7.

👀 소위 말하는 타이틀 작성 요령

제목 = # 제목

제목 = ## 제목

제목 = ### 제목

쉽게 설명하면 h1, h2, h3의 순서대로 #이 붙을 수록 타이틀의 폰트 크기가 작아진다.


문장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대게 문장은 "닳도록" 뒤에 엔터쳐서 줄 바꿈 하면 위에 처럼 표시가 되지않고,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이렇게 이어서 표시가 된다.
(근데 티스토리는 안그런가봄..)

이미지

<< README에서 작성한 사진


그럼 줄 바꿈이 엔터로 안되는 곳은 어떻게 하느냐?

줄바꿈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스페이스바 두번)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이미지

<< README에서 작성한 사진인데, 첫 줄에 끝에 보면 괄호 옆에 보면 스페이스 바 두 번 한 거 처럼 띄워쓰기 되어있음.
티스토리는 라인 브레이크 =
태그를 쓰니까 줄 바꿈이 아니라 문단을 나눠버리는거 같음.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
=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


강조

이텔릭 = _이텔릭_
두껍게 = **두껍게**
이텔릭 + 두껍게 = **_이텔릭 + 두껍게_**

취소선

= 취소선
밑줄 = 밑줄


목록

이미지)이미지

이미지로 설명하는게 더 쉬울 거 같아서 이미지를 첨부했다.

목록은 번호 신경을 쓰지않고, 1.로 찍어 만들면 번호는 알아서 정해준다.
중간에 삭제하고 저장해도 번호는 자동을 맞춰주니 간편하다.
그리고 큰 목록 밑에 띄워쓰기를 4번 하면 하위 목차가 된다.(세 번째 줄을 보면 두번만 띄워쓰기했는데 상위 목차로 표기된다.)
하이픈을 사용하면 순서 목차가 아닌 점으로 표시되고 띄워쓰기를 2번 하면 그것보다 더 하위의 목차로 표기된다.
(근데 티스토리 마크다운은 좀 다름..)


링크

이미지)이미지

링크 같은 경우 a태그를 써서 나타내는 방식이 있고,
[사이트 이름](url) 형식으로 나타내는 방식이 있다.

그리고 툴팁창을 표시하려면 a태그는 태그 내부에 title을 쓰고,
[사이트 이름](url)형식은 소괄호 내부에 ""를 써서 나타낸다.
ex. [사이트 이름](url "툴팁")


이미지

이미지는 ![대체 택스트](이미지 url)의 형식으로 나타낸다.
ex. 이 글의 위에 이미지들도 다 위의 방식으로 표시했다.

이미지

그리고 이미지에 링크를 걸고 싶으면
[![대체 텍스트](이미지 url](사이트 url) 방식으로 표현하면 된다.
그러니까 위에 설명한 링크의 형식인 [사이트 이름] 부분에 ![대체 택스트](이미지 url)를 넣어야한다.
[ ![대체 택스트](이미지 url)] 이런식으로 그리고 뒤에 (이미지를 누르면 이동할 사이트 url)을 넣으면 된다.


인용문

> 남의 말이나 글에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따온 문장.
> (네이버 국어 사전)

> 인용문
>> 인용문
>>> 인용문
>>> 인용문
>>> 인용문
(티스토리는 위 방식으로 인용문을 작성하면 밑에 처럼 나온다.)

인용문

(READEME에서는 아래와 같이 나온다.)

이미지


인라인 코드 강조

css에서 background 혹은 background-image 속성으로 요소에 배경 이미지를 삽입 할 수 있습니다.

백틱으로 인라인 코드를 강조해주는 방법이다.
작은 따옴표 ''가 아닌 `` 백틱이다.


블럭 코드 강조

이미지)이미지

이 또한 티스토리에서는 좀 다르게 동작하는거 같다.
README로 작성했을 때는 이미지를 보시다시피 백틱을 ```사용할 코드블럭```으로 마무리한다.


position 속성

의미 기본값
static 기준없음 O
relative 요소 자신 X
absolute 위치 상 부모 요소 X
fixed 뷰포트 X

값 | 의미 | 기본값
--(기본값 왼쪽으로 정렬)|:--:(중앙에 정렬)|--:(오른쪽으로 정렬)

static | 기준없음 | O
relative | 요소 자신 | X
absolute | 위치 상 부모 요소 | X
fixed | 뷰포트 | X

위에 완성된 표를 보시면 값 부분에 하이픈 두개 --표시만 되어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표 내부에 있는 글자 정렬을 왼쪽으로 하는 것이고,
의미 부분에 보시면 :--:으로 표시되어 있다.
콜론이 양쪽에 붙어있는데 이것은 가운데로 정렬하는 것 이다.
마지막으로, 기본값 부분에 --:는 오른쪽 정렬이다.


수평선


(*** 별표 3개)


(___ 언더라인 3개)


(---하이픈3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