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공부한 splice메서드를 활용한 점수별로 학생들 나누기
const students = [ { name: "A", score: 90 }, { name: "B", score: 85 }, { name: "C", score: 75 }, { name: "D", score: 95 }, { name: "E", score: 60 } ] // key, value값으로 학생들의 이름과 점수를 배열로 생성 const excellentStudents = [] // 조건에 맞는 요소를 집어넣기 위한 빈 배열 const excludedStudents = [] const completedStudents = [] for (let i = 0; i < students.length; i++) { const score = students[i].score // for문으로 students배열의 ..
2023. 5. 11.
sort 메서드
sort 메서드는 배열의 요소를 적절한 위치에 정렬한 후 그 배열을 반환한다. 기본 정렬 순서는 문자열의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를 따릅니다. *참고자료 - MDN sort() const arr1 = [1, 30, 4, 21, 100000, 445,79878]; arr1.sort() console.log(arr1) arr1 이라는 배열에 아무 숫자나 집어 넣어서 콘솔로그로 출력해보자. [1, 100000, 21, 30, 4, 445, 79878] 결과는 이러한 값이 나온다. 왜이러는걸까 sort메서드는 비교함수를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문자열 비교를 실행한다. 위에 말했듯이 유니코드 순서로 정렬.. 하지만 이걸 비교함수를 지정해준다면? const arr1 = [1, 30, 4, 21, 100000, 44..
2023.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