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9 "프로미스(Promise)와 콜백(Callback)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promise와 callback은 둘다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는 방법이다. 차이점으로는 구조와 가독성, 에러 처리, 상태 관리가 있으며, 구조와 가독성 - promise를 사용하면, 비동기 작업을 좀 더 선언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코드의 가독성이 callback에 비해 향상된다. 반면, callback은 중첩 사용 시에 흔히 말하는 callback지옥에 빠질 수 있다. 에러처리 - promise는 catch() 메서드를 이용해서 에러 처리를 관리 할 수 있다. callback은 각 callback 함수마다 에러 처리 로직을 적용해야한다. 상태 관리 - promise는 pending, fullfiled, rejected 3가지 상태를 가지고, 이 상태들을 이용해서 비동기 작업의 결과를 명확하게 다룰 수 있.. 2024. 3. 11. 계속 써내려갈 블로그 배포 https://bearhuman-agora.vercel.app/ 2023. 10. 25. Context API 리액트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상태 관리 방법 컴포넌트 트리 안에서 전역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값 관리 Props Drilling을 피하고, 컴포넌트 간 상태를 쉽게 공유 가능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 테마, 언어 설정 등) 장점 Prop Drilling 문제 해결 추가적인 라이브러리 설치 없음 단점 복잡한 상태 관리는 어려울 수 있음 (많은 상태를 전역으로 관리하는 경우 다른 전역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가 적합) 너무 많은 Context를 사용하면 재사용성이 떨어짐 2023. 10. 22. useMemo '메모제이션'된 값을 반환하는 hook 성능 최적화를 위해 연산된 값을 재사용. ( 기존에 수행한 연산의 결과값을 저장해두고 동일한 입력이 들어오면 재활용. ) 중복 연산을 피할 수 있어 어플리케이션 성능을 최적화 2023. 10. 7.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