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9

얼마 전에 공부한 splice메서드를 활용한 점수별로 학생들 나누기 const students = [ { name: "A", score: 90 }, { name: "B", score: 85 }, { name: "C", score: 75 }, { name: "D", score: 95 }, { name: "E", score: 60 } ] // key, value값으로 학생들의 이름과 점수를 배열로 생성 const excellentStudents = [] // 조건에 맞는 요소를 집어넣기 위한 빈 배열 const excludedStudents = [] const completedStudents = [] for (let i = 0; i < students.length; i++) { const score = students[i].score // for문으로 students배열의 .. 2023. 5. 11.
Object 생성자 함수 *참고 자료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Object 생성자 함수 new 연산자와 함께 object 생성자 함수를 호출하면 빈 객체를 생성하여 반환한다. 빈 객체를 생성한 이후 프로퍼티 또는 메서드를 추가하여 객체를 완성할 수 있다. const person = new Object() person.name = 'bear' person.sayYeah = function () { console.log('I say ye, you say ah. alrigt? ' + this.name) } console.log(person) person.sayYeah() 위 코드는 const person = new Object라는 빈 객체를 생성하고 person.name, person.say Yeah라는 프로퍼티를 추가.. 2023. 5. 10.
splice() 메서드 splice() 메서드는 배열의 기존 요소를 삭제 또는 교체 하거나 새 요소를 추가하여 배열의 내용을 변경합니다. (삭제한 요소들은 배열로 반환된다.) *참고자료 : MDN - splice() array.splice(start[, deleteCount[, item1[, item2[, ...]]]]) splice 메서드의 구문을 확인해보면 start, deleteCount, items로 이루어져 있다. start : 원본 배열의 요소를 제거하기 시작할 인덱스이고, start만 지정하면 원본 배열의 start부터 모든 요소를 제거한다. start가 음수인 경우 배열의 끝에서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만약에 start가 -1(음수)이면 마지막 요소를 가리키고 -n이면 마지막에 n번째 요소를 가리킨다. delete.. 2023. 5. 9.
리액트 불변성 지키기 불변성이란? 값이나 상태를 변경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Javascript는 원시 타입에 대한 참조 및 값을 저장하기 위해 Call Staㅊk 메모리 공간을 사용 하지만 참조 타입의 경우 Heap이라는 별도의 메모리 공간을 사용한다. Call Stack은 개체 및 배열 갑싱 아닌 메모리에만 Heap 메모리 참조 ID를 값으로 지정한다. 원시 타입 참조 타입 불변성을 가지고 있음 불변성을 가지고 있지 않음 Boolean, String, Number, null, undefined, Symbol Obeject, Array 고정된 크기로 Call Stack 메모리에 저장 데이터 크기가 정해지지 않고 Call Stack 메모리에 저장 실제 데이터가 변수에 할당 데이터 값이 Heap에 저장되면 변수에.. 2023.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