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9 [BROWSER] CORS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먼저, CORS는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도메인에서 리소스를 요청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보안 기능이다.기본적으르, 브라우저는 보안상의 이유로 스크립트가 다른 출처(도메인, 프로토콜, 포트)에서 리소스를 요청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를 Smae-Origin-Policy라고 한다.하지만 CORS는 이를 우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1. URL의 구성https://codingbear-boza.tistory.com/manage/newpost/?type=post&returnURL=%2Fmanage%2Fposts%2F#1234https는 프로토콜(protocol)codingbear-boza.tistory.com는 호스트(host)현재 포트(port)는 생략되어있으나 https의 경우 기본 포트는 443이다./manage.. 2024. 8. 2. [AWS] amplify 일단 무작정 해보기 일단 뭐라도 할려면 펠리컨적 사고가 필요한거 같다.일단 맨땅에 헤딩부터.내가 이때까지 해오던 배포 방식은 98% vercel을 이용한 배포 방식이었다.서버? 그냥 백엔드에서 api만들어주면 서버에 올려서 내가 갔다 쓰는 줄만 알았지.그런데 뭐 EC2, amplify, lambda 이런 것들이 있었다.그중에 이번엔 기존에 vercel에서 배포했던 프로젝트들을 amplify에서 배포해보기로 했다.AWS Amplify란 무엇인가요?AWS Amplify는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모바일 및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포괄적인 개발 플랫폼입니다. 백엔드 구성, 호스팅 및 배포를 포함하여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여러 측면을 간소화합니다.주요 특징들1. 간소화된 배포 : 몇 번의 클릭만으로 정적 웹사이트와 단일 페이지.. 2024. 8. 1. [JS] 웹팩이란? 웹팩이란 최신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듈 번들러이다.모듈 번들러란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자원 (HTML, CSS JS, Image 등)을 모두 각각의 모듈로 보고 이를 조합해서 하나의 결과물을 만드는 도구를 의미한다.모듈이란?모듈은 프로그래밍 관점에서 특정 기능을 갖는 작은 코드 단위를 의미한다.const sum = (a, b) => { return a + b}const substract = (a, b) => { return a - b}export {sum, substract}이 코드의 경우 하나의 모듈에 sum과 substract 2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왜 웹팩이 필요할까?모듈 시스템 지원 웹팩은 CMJ, AMD, ESM 등 다양한 모듈 시스템을 지원하여 모듈화된 개발을.. 2024. 7. 29. [Browser]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했을 때 브라우저 주소창에 url을 입력 했을 때 과정1. 브라우저 주소창에 url입력브라우저는 url을 해석하여 프로토콜, 도메인 이름, 경로, 쿼리 매개변수 등을 추출2. DNS 조회브라우저는 입력된 도메인 이름을 기반으로 DNS 서버에 질의하여 해당 도메인 이름에 대응하는 IP주소를 탐색3. TCP 연결IP주소가 확인되면 브라우저는 서버와 TCP연결을 설정,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서3-way 핸드셰이크 과정을 통해 브라우저와 서버 간 연결을 설정4. HTTP/HTTPS 요청TCP 연결이 설정되면, 브라우저는 웹 서버에 HTTP 또는 HTTPS 요청을 보냄.요청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url 경로와 필요한 추가 헤더 정보들이 포함.5. 서버 응답서버는 요청을 받아들이고, 요청된 자원을 준비한 후.. 2024. 7. 24. 이전 1 ··· 4 5 6 7 8 9 10 ··· 30 다음